티스토리 뷰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필수 용어를 소개합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어려운 용어 때문에 더 이상 고통받지 마세요.
핵심
컴퓨터 초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필수 단어들을 정리했습니다.
기초적인 용어 뿐 아니라 파생해서 알아볼 수 있는 용어들이 리스트업되었습니다.
* 구성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 CPU (중앙 처리 장치)
- RAM (랜덤 액세스 메모리)
- HDD와 SSD
- 운영 체제
- 브라우저
- 클라우드 컴퓨팅
- 네트워크와 인터넷
- 바이러스와 보안
- 백업과 복구
- 컴퓨터 관련 알아두면 좋을 용어 리스트업
* 상위문서
- 컴퓨터 구성 요소
- 컴퓨터 소프트웨어 종류
- 컴퓨터 하드웨어 종류
- 컴퓨터 보안 가이드
1.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는 컴퓨터의 물리적 부분을 말하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가 수행하는 작업을 지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하드웨어 예시로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고, 소프트웨어 예시로는 운영 체제, 브라우저, 워드프로세서 등이 있습니다.
2. CPU (중앙 처리 장치)
CPU는 컴퓨터의 두뇌라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명령어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CPU는 클럭 속도와 코어 수에 따라 성능이 다릅니다.
3. RA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은 컴퓨터가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하는 메모리입니다. RAM의 용량이 클수록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습니다.
4. HDD와 SSD
- HD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통적인 저장장치입니다.
- SSD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로, 전자식 저장장치로서 HDD보다 빠르고 내구성이 좋습니다.
5. 운영 체제
운영 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중요한 소프트웨어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운영 체제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애플의 macOS, 그리고 Linux 등이 있습니다.
6. 브라우저
브라우저는 웹페이지를 탐색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가장 인기 있는 브라우저로는 구글 Chrome, 모질라 Firefox, 애플 Safari 등이 있습니다.
7.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백업, 소프트웨어 사용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8. 네트워크와 인터넷
- 네트워크는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입니다.
- 인터넷은 전 세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글로벌 시스템입니다.
9. 바이러스와 보안
- 바이러스는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해 기능을 해치거나 정보를 훔치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
- 보안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바이러스와 해커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10. 백업과 복구
- 백업은 중요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저장하여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 복구는 백업된 데이터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입니다.
11. 컴퓨터 관련 알아두면 좋을 용어 리스트업
다음은 컴퓨터와 관련해서 알아두면 좋을 파생 용어들을 리스트업한 자료입니다.
- 컴퓨터 (Computer) -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 하드웨어 (Hardware) - 컴퓨터의 물리적인 부분을 말합니다.
- 소프트웨어 (Software) -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말합니다.
- 프로그램 (Program) -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의 집합입니다.
- 알고리즘 (Algorithm) -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말합니다.
- 데이터 (Data) - 정보를 나타내는 숫자, 문자, 이미지, 오디오 등의 정보입니다.
- 바이트 (Byte)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입니다. 8비트를 한 묶음으로 표현합니다.
- 비트 (Bit) -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입니다.
- 메모리 (Memory) -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 RAM (Random Access Memory) -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시적인 메모리입니다.
- ROM (Read-Only Memory) - 컴퓨터의 부팅 및 초기화에 사용되는 읽기 전용 메모리입니다.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입니다.
- 캐시 (Cache) -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메모리입니다.
- 버스 (Bus)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로입니다.
- 입력장치 (Input Device) -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입니다.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습니다.
- 출력장치 (Output Device) - 컴퓨터에서 처리한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예를 들면 모니터, 프린터 등이 있습니다.
- 그래픽스 카드 (Graphics Card) - 컴퓨터에서 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입니다.
- 모델 (Model) - 컴퓨터가 학습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말합니다.
-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분야입니다.
- 딥러닝 (Deep Learning) - 인공신경망을 사용한 머신러닝 기술입니다.
-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 컴퓨터가 학습하고 패턴을 파악하여 예측하거나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 생물학적 뉴런을 모방하여 만든 인공지능 모델입니다.
- 텐서플로우 (TensorFlow) - 구글에서 개발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입니다.
- 파이토치 (PyTorch) - 페이스북에서 개발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입니다.
- 케라스 (Keras) - 머신러닝 모델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 빅데이터 (Big Data) - 대규모 데이터를 의미하며,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입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분석 등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 가상머신 (Virtual Machine) -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 체제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 컨테이너 (Container) -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독립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 리눅스 (Linux) - 오픈소스 운영 체제 중 하나로, 서버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윈도우 (Windows)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운영 체제입니다.
- macOS - 애플에서 개발한 운영 체제입니다.
- 오픈소스 (Open Source) -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입니다.
- 소스 코드 (Source Code)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원시 코드를 말합니다.
- 컴파일러 (Compiler) -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디버깅 (Debugging) -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입니다.
- 버전 관리 (Version Control)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입니다.
- 깃 (Git) - 버전 관리 시스템 중 하나로, 리눅스 커널 개발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 서버 (Server) -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입니다.
- 클라이언트 (Client) -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입니다.
- 웹 서버 (Web Server) -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쿼리 언어입니다.
- NoSQL (Not only SQL)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사이의 상호 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 특정 플랫폼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패키지입니다.
-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 터미널 (Terminal) - 텍스트 기반으로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환경입니다.
- 쉘 (Shell) -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표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SSH (Secure Shell) -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원격으로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의 보안 강화 버전으로,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
- SSL (Secure Sockets Layer) -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 SSL의 후속 프로토콜로, 데이터 보안 및 안전한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 암호화 (Encryption) -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 복호화 (Decryption) - 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평문 데이터로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 해시 함수 (Hash Function) - 임의의 크기의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고유한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 악성 코드 (Malware) - 컴퓨터 시스템에 악의적으로 설계된 소프트웨어입니다. 바이러스, 웜, 트로이 목마 등이 있습니다.
- 백신 (Antivirus) - 악성 코드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 해킹 (Hacking) - 컴퓨터 시스템에 불법적으로 침입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 사이버 보안 (Cybersecurity) -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기술 및 전략입니다.
-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원격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 블록체인 (Blockchain) - 탈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 기술로, 거래 기록을 분산하여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입니다.
- 가상화폐 (Cryptocurrency) -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발행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 -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며, 계약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거래를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 인터넷 of Things (IoT) -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기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술입니다.
- 인공지능 스피커 (AI Speaker) - 음성 인식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명령을 인식하고 실행하는 스피커입니다.
- 가상 현실 (Virtual Reality) - 컴퓨터를 사용하여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사용자가 그 속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 증강 현실 (Augmented Reality) - 실제 환경에 가상의 요소를 합성하여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 빅테크 (Big Tech) - 구글,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등 대규모 기술 기업들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 코딩 (Coding)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작업입니다.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Software Engineer)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설계하는 직업입니다.
- 빅테크 엔지니어 (Big Tech Engineer) - 대규모 기술 기업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설계하는 직업입니다.
- 애자일 (Agile)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빠르게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 유연하고 반복적으로 작업하는 방식입니다.
- 데브옵스 (DevOps) - 개발과 운영을 통합하여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하는 방식입니다.
-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 -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등의 시설과 시스템을 말합니다.
- 서버리스 (Serverless) -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입니다.
- 퀀텀 컴퓨팅 (Quantum Computing) -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 블루투스 (Bluetooth) - 무선 통신 기술로, 짧은 거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짧은 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입니다.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무선으로 데이터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 라즈베리 파이 (Raspberry Pi) - 작은 크기의 싱글보드 컴퓨터로, 학습용이나 IoT 기기 개발 등에 활용됩니다.
- 아두이노 (Arduino) - 오픈소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및 IoT 기기 개발 등에 활용됩니다.
- 마이크로컨트롤러 (Microcontroller) - 작은 규모의 컴퓨터로, 제한된 자원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 모바일 앱 (Mobile App) -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 앱 개발 (App Development) -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앱을 개발하는 작업입니다.
- UI (User Interface) - 사용자가 소프트웨어와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 UX (User Experience) -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입니다.
- 웹 개발 (Web Development) -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작업입니다.
- 프론트엔드 (Front-end) -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영역입니다.
- 백엔드 (Back-end) - 웹 사이트나 웹 애플리케이션의 서버 측 로직을 개발하는 영역입니다.
- 전자상거래 (E-commerce) -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입니다.
- 검색 엔진 최적화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웹 사이트나 웹 페이지를 검색 엔진에서 노출되기 좋도록 최적화하는 작업입니다.
- 소셜 미디어 (Social Media) -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간에 소통하는 플랫폼입니다.
- 블로그 (Blog) - 개인이나 조직이 정보나 의견을 게시하는 웹 사이트입니다.
- 마케팅 자동화 (Marketing Automation) - 마케팅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 컴퓨터 관련 필수 용어들과 파생 단어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더 깊은 이해를 위해 각 용어들을 세부적으로 더 조사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을 연관 주제
- 컴퓨터 부품별 역할과 구성 요소